허담 (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)
"오늘의AI위키"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.
1. 개요
허담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, 외무상, 정무원 부총리, 당 정치국원,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위원장 등을 역임했다. 함경북도 출신으로 김일성종합대학과 모스크바 대학교를 졸업했으며, 1955년부터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에서 근무했다. 1970년 외무상에 취임하여 북한 고위 관리 중 처음으로 미국을 방문했고, 1980년에는 김일성을 수행하여 유고슬라비아의 티토 장례식에 참석했다. 1983년 당 정치국원으로 승격되었으며, 1984년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위원장을 맡았다. 1991년 지병으로 사망했다.
더 읽어볼만한 페이지
-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외무상 - 박헌영
박헌영은 일제강점기 사회주의 운동가이자 독립운동가, 정치인으로, 조선공산당 창당에 참여하고 해방 후 조선공산당 재건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으나, 한국 전쟁 이후 김일성 정권에 의해 처형되어 그의 생애와 활동은 논란과 재평가의 대상이 되고 있다. -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외무상 - 리선권
조선인민군 대좌 출신으로 남북 군사 실무 회담 북측 대표를 지낸 리선권은 외무상, 통일전선부 부장 등을 역임한 북한의 군인 출신 정치인이다. - 한국의 통일운동가 - 박헌영
박헌영은 일제강점기 사회주의 운동가이자 독립운동가, 정치인으로, 조선공산당 창당에 참여하고 해방 후 조선공산당 재건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으나, 한국 전쟁 이후 김일성 정권에 의해 처형되어 그의 생애와 활동은 논란과 재평가의 대상이 되고 있다. - 한국의 통일운동가 - 여운형
여운형은 일제강점기와 해방 직후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, 독립운동 단체 활동, 임시정부 참여, 좌우합작을 통한 통일 노력으로 알려졌으나 해방 후 암살당했고 그의 삶과 죽음은 친일 논란과 암살 배후에 대한 논쟁을 낳고 있다. - 김일성종합대학 동문 - 김정일
김정일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제2대 최고지도자로, 김일성 사망 후 권력을 승계하여 조선로동당 총비서 및 국방위원회 위원장으로 통치하며 3대 세습, 핵무기 개발, 남북 정상회담 등의 사건과 경제난, 인권 탄압 등의 문제를 겪은 인물이다. - 김일성종합대학 동문 - 강성산
강성산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, 두 차례에 걸쳐 내각 총리를 역임하며 합영법 제정 등 경제 개혁을 추진하였으나 김정일 시대에 실각한 후 사망하여 애국렬사릉에 안장되었다.
허담 (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) - [인물]에 관한 문서 | |
---|---|
기본 정보 | |
![]() | |
본명 | 허담 |
한자 표기 | 許錟 |
로마자 표기 | Heo Dam |
직위 | |
임기 시작 | 1970년 |
임기 종료 | 1983년 |
이전 | 박성철 |
이후 | 김영남 |
개인 정보 | |
출생 | 1929년 3월 6일 |
출생지 | 겐잔, 함경남도, 일본 제국령 조선 (현재의 강원도, 북한 원산) |
사망 | 1991년 5월 11일 |
사망지 | 평양, 북한 |
배우자 | 김정숙 |
정당 | |
소속 정당 | 조선로동당 |
학력 | |
출신 학교 | 김일성종합대학 모스크바 대학교 |
경력 | |
직책 | 정무원 부총리 |
임기 시작 | 1973년 2월 26일 |
임기 종료 | 1983년 12월 28일 |
수상 | 김일, 박성철, 리종옥 |
직책 | 외무상 |
임기 시작 | 1970년 7월 11일 |
임기 종료 | 1983년 12월 28일 |
수상 | 김일성, 김일, 박성철, 리종옥 |
2. 생애
허담은 일제강점기 함경북도에서 태어나 김일성종합대학을 졸업하고 모스크바 대학교로 유학을 갔다. 조선로동당 입당 후 1955년 8월부터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에서 근무했다.
정치국 위원이자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위원장이었다.[2]
1991년 5월 11일 지병으로 사망했다. 조선중앙통신은 사망 원인을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다.[2] 1991년 5월 14일 국장이 거행되었다.[5]
2. 1. 초기 생애 및 교육
허담은 일제강점기에 함경북도에서 태어났다. 김일성종합대학을 졸업하고 모스크바 대학교로 유학을 갔다.2. 2. 정치 경력
조선로동당 중앙정치국 위원이자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위원장이었다.[2]1962년 1월 외무차관에 취임하였고, 이후 제1외무차관으로 승진하였다. 1970년 7월 11일 외무상(대신)에 취임, 같은 해 11월 제5차 당대회에서 당 중앙위원으로 선출되었다. 1972년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으로 선출되었고, 같은 해 12월 헌법 개정에 따른 국가 기구 개편으로 내각이 정무원으로 개편되자, 정무원 외교부장(외무대신)에 취임하였다. 1973년 2월 26일, 정무원 부총리를 겸임하였다. 1977년 외무상 재임 중 북한 고위 관리로는 처음으로 미국을 방문했다.
1980년 10월 제6차 당대회에서 정치국원 후보가 되었고, 1983년 11월 당 정치국원으로 승격하여 서기를 겸임하였다. 같은 해 12월 28일, 정무원 부총리 겸 외교부장을 사임하고, 김일성을 수행하여 요시프 브로즈 티토 유고슬라비아 지도자의 장례식에 참석하기 위해 베오그라드를 방문했다.
1984년 1월,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위원장에 취임하였다. 1989년 11월 및 1990년 최고인민회의 외교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다.[2]
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1991년 5월 11일 지병으로 사망했으며, 사망 원인은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다.[2] 1991년 5월 14일 국장이 거행되었다.[5]
2. 3. 외교 활동
1962년 1월 외무차관에 취임하였다. 그 후, 제1외무차관으로 승격하였다. 1970년 7월 11일 외무상(대신)에 취임하여, 같은 해 11월 제5차 당대회에서 당 중앙위원으로 선출되었다. 1972년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으로 선출되었다. 같은 해 12월, 헌법 개정에 따른 국가 기구 개편으로 내각이 정무원으로 개편되자, 허담은 정무원 외교부장(외무대신)에 취임했다. 1973년 2월 26일, 정무원 부총리를 겸임하였다.1977년 외무상으로 재임하면서 북한 고위 관리 중 처음으로 미국을 방문했다.[2] 1980년에는 김일성을 수행하여 요시프 브로즈 티토 유고슬라비아 지도자의 장례식에 참석하기 위해 유고슬라비아 베오그라드를 방문했다. 1983년 외무상 직을 사임하고 조선로동당 비서가 되었다.
1983년 12월 28일, 정무원 부총리 겸 외교부장을 사임하였다. 1989년 11월, 최고인민회의 외교위원장에 취임하였다.[2] 1990년에는 최고인민회의 외교위원회의 위원장으로 임명되었다.[2]
2. 4. 정무원 부총리 겸 외교부장
1970년 7월 11일, 외무상(대신)에 취임하여 같은 해 11월 제5차 당대회에서 당 중앙위원으로 선출되었다.[5] 1972년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으로 선출되었고, 같은 해 12월 헌법 개정에 따라 국가 기구가 정무원으로 개편되자 허담은 계속해서 정무원 외교부장(외무대신)을 맡았다.[5] 1973년 2월 26일, 정무원 부총리를 겸임했다.[5] 1983년 12월 28일, 정무원 부총리 겸 외교부장에서 물러났다.[5]2. 5. 조선로동당 정치국원 및 서기
1980년 10월 조선로동당 제6차 당대회에서 정치국원 후보가 되었다.[5] 1983년 11월, 당 정치국원으로 승격하여 서기를 겸임하였으며, 같은 해 12월 28일 정무원 부총리 겸 외교부장을 사임하였다.[5] 그는 북한 공산당의 집권 정치국 위원이었다.[2] 1983년 외무상 직을 사임하고 조선로동당 비서가 되었다.2. 6.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위원장
1984년 1월, 조선로동당의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위원장에 취임하였다. 그는 공산주의 북한과 자본주의 남한의 재통일을 위한 명목상의 노력을 기울였다.[2]2. 7. 최고인민회의 외교위원회 위원장
허담은 1989년 11월 최고인민회의 외교위원장에 취임하였고,[2] 1990년에는 북한 의회인 최고인민회의 외교위원회의 위원장으로 임명되었다.[2]2. 8. 사망
許錟|허담중국어은 1991년 5월 11일 지병으로 사망했다. 조선중앙통신은 사망 원인을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다.[2] 5월 14일에는 국장이 거행되었다.[5]참조
[1]
웹사이트
Index Ho-Hy
https://www.rulers.o[...]
[2]
뉴스
Ho Dam; North Korean Official, 62
https://www.nytimes.[...]
1991-05-14
[3]
문서
아시아동향년보에서 호·담의 표기
[4]
뉴스
북朝鮮、対外文化連絡委員長に金貞淑氏を任命
https://jp.yna.co.kr[...]
聯合ニュース
2010-02-19
[5]
간행물
【日誌】――1991.5.11~6.10
조선문제연구소
1991-08-01
[6]
문서
許淡 표기
[7]
뉴스
북 군단장 7명 전격 교체, 4년 만에 최대 규모
https://archive.toda[...]
중앙일보
[8]
뉴스
[뉴스테이션/딥포커스] 북한의 ‘도발과 대화’ 이중전술의 비밀<2>
http://news.naver.co[...]
네이버 뉴스
[9]
웹인용
통일뉴스
http://www.tongilnew[...]
2010-12-09
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,정부 간행물,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.
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, CC BY-SA 4.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.
하지만,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, 부정확한 정보,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,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.
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,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.
문의하기 : help@durumis.com